티스토리 뷰

웹마스터사이트노출관련네이버그리핀

krfreedevlife 2017. 12. 9. 16:05
반응형


웸사스터에서 사이트영역과 웹문서영역이 통합되어지는 시스템인 네이버그리핀은 네이버에서 검색노출 부분에서 새롭게 개선된 시스템입니다.


네이버는 사실 사이트노출은 해당사이트가 있습니다. 정도로 의미되고 웹페이지 부분은 상당히 의미없이 다루어졌는데요







이제는 웹페이지로 한개의 영역으로 2017년 12월 7일 통합되면서

웹사이트의 다양한 형식에 대한 검색 대응을 하기로 하였습니다.


기존 솔루션 쇼핑몰들이 네이버 사이트 영역에서 노출이 안되는 경우들이 많은데요


10월 중순부터 ..이런 현상이 발생해서 11월 중순에서는 기존 등록된 것이 사라지거나


아니면 사이트영역에 노출이 안되는 등의 상황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기존 등록된 것이 사라진 경우 rss나 사이트 맵등을 새로 제출해서 다시 노출이 되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다시 사라지기도 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사이트이던 블로그이던 쇼핑몰이던 다양하게 이른 증상이 나타나고있죠




빨리 안정화되어서 일정한 패턴이 정착되기 전까지는 현재는 이런


불안정한 분위기로 되어 질듯합니다.


기존에 반영되던 일반적인 요소들은 반영이 되어지면서 




추가적으로 


1. 신뢰도가 높은 사이트일수록


2. 게시물당 방문자들이 얼마나 체류하는지에 대한 평판이나


3. 많은 방문자들이 발생하는 이슈가 높은 게시물인가등


이 포함될 예정입니다.




아마 기존 제작되었던 페이지 html형식에서도 최적화부분이 많이 필요해질거 같습니다.


웹사이트 제작에서 표준을 지키지 않던 구형 솔루션 업체들은 아마 이번에 많이 도태되겠죠





본인 사이트가 노출이 안되는 경우에는 


우선 사이트 도메인이 과거에 다른 용도로 사용되어진 것이었는지, 검색포털에서 차단되는 컨텐츠인지를 확인하시구요.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대부분은 노출이 되지만 아래의 양식을 다 정확히 체크를 해줘도 노출이 안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는 서버단에서 이루어지는 단계일 수도 있구요 사이트 제작 자체에서 문제일 수도 있고 소스로 체크할 수 있는 단계를 넘어갑니다.


기존에 노출되었다 사라진 경우는 


1. rss / 사이트맵 등 새로 제출

2. 웹마스터계정 지우고 새로 등록


을 시도해보시면 일부 성공합니다.



1. 메타부분 체크 


도메인으로 접속하는 페이지의 메타 뿐만 아니라 서브카테고리나 게시물/페이지등에서도 메타부분이 페이지별 이름과 설명 등이 정확히 구현되는지 확인해보세요


메타는 사이트 소스보기로 보시면 


<head></head>사이에 있는

<meta name="~~~~~~~~~~~~~>  이런 코드로 선언되는 것들입니다.


실제 유저의 브라우저 화면에는 보이지 않지만 html 문서가 선언해주는 여러가지 정보들입니다.


<meta name="naver-site-verification" content="@@@@@@@@@@@@@@@@"/>

이라면 네이버웹마스터 사이트 소유확인 키값을 선언해준거겠죠



사이트가 페이지별 head를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 head에 메타를 넣어버리면 

사이트가 어느 페이지를 가던 메타를 동일한 한개로만 쓰는 경우도 있으니까요. 


즉 도메인.com 이란 사이트에서 메인에서 타이틀이 "도메인" 이었다면

도메인.com/about 이란 페이지에서는 타이틀이 "도메인 소개" 라고 달라져야하는 부분입니다.


주의하실게 원페이지 사이트에서 a href="#d" 이런 식으로 앵커로 구분해서 쓰시는 경우는 url에는 도메인.com 과 도메인.com/#d 가 다르게 보이지만 검색엔진에서는

동일한 페이지로 보고 있습니다.


저 도메인.com/#d인 경우에 헤드가 내용이 변경이 되어야 하는 기능이 없다면 동일 페이지입니다. 


그리고 주의하실것은 

대표 url선언해주는 canonical 리다이렉트입니다.


canonical은   도메인.com 과 도메인.com/index.html 은 같은 url이라는 것 표시해주는 것입니다.


코드는 

<link rel="canonical" href="도메인.com">




2. robots.txt


로봇 검색 막으면 노출 안되는 것은 당연하구요


txt문서로 되어있고 도메인.com/robotx.txt에 위치해야합니다.


User-agent: 제어할 로봇의 User-agent 입니다. 

검색엔진 모든것에 노출 허용이라고 하면 User-agent:* 로 사용하시며 됩니다.


폴더명 맨끝에는 반드시  /를 붙여주셔야 하구요


허용인 경우 Allow: /  , Allow:/event;/ 처럼 사용하면 되고

차단인 경우 Disallow:/admin/ 처럼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 모든 검색엔진에 대해서 모든 폴더의 검색노출을 허용한다

User-agent:* 

Allow: / 


3. html 구조에서 


<a href=" 주소" >  이부분을 스크립트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최대한 직접 url 주소로 표시되도록 해주세요 


 메뉴 네비게이션 부분에서 


"소개" "공지" "신청" "포트폴리오" 가 있다면


<a href="/info">소개</a>  와 같은 형태로 되어야지 로봇검색이 수월하게 링크를 타고 소개페이지를 검색하러 갑니다

<a href="#" onclick="javascript:go_url('info')">소개</a> 이런 형태라면 찾아가기 힘들겠죠


심하게 표현하면

<input type="button" id="info">소개<button> 으로 버튼으로 된 링크가기이고

스크립트로 이동시키는 경우이기도 합니다.


<script>

$('#info).click(function() {

window.location.href="http://도메인.com/info"

});

</script> 



4. sitemap.xml은 


robots.txt에서 선언해줄수 있고 혹은 웹마스터에 직접 등록할 수있는데요


도메인.com/sitemap.xml 로 보통 사용합니다만 주소가 달라져도 됩니다.


미리 내 사이트의 여러 하위문서들의 주소를 제출한다는 개념으로 생각하시면됩니다.


사이트맵 자체를 솔루션에서 생성해버리는 호스팅업체를 이용하시면 수정은 안되고 

주는대로 쓰셔야합니다.



5. 키워드 배치.


키워드는 정확한 키워드를 정확한 방법으로 배치하셔야합니다.

이건 추후 노출순위 알고리즘 설명으로 따로 하겠습니다.



6. 기타.


백링크/사이트반응속도/로딩페이지용량 등의 부분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최대한 표준화된 html 구조를 유지하셔야 합니다.


되도록 모바일 페이지와 pc페이지를 따로 구별하던 m.도메인 이런 형태보다는 


반응형 사이트를 쓰시는게 주소가 복잡해지지 않아서 집중이 되죠.


m.도메인.com으로 사용시는 canonical 선언해주시는 거 잊지마시구요.




추가


사이트를 호스팅에서 작업중일때는 robots.txt를


User-agent:*

Disallow:/


로 검색노출은 아예 끄신후에 제작이 완료된 후에 웹마스터에 등록시키시는것이 좋습니다.


한번 검색되어진 것은 다음 로봇 재방문때 변경이 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정보들이 검색되어 노출이 되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검색엔진은 기본적으로 링크된 주소는 모든 것을 검사하고 수집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구글은 그렇게 된 결과물을 노출시켜버리는 반면에 네이버는 네이버 웹마스터에 등록된 것에 우선을 준다는 점이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